검은색이기만 하던 집 아이콘이 WWA 표시와 함께 휠체어, 수어, 성소수자깃발 아이콘을 달며 다채로워진 아이콘

사회적기업 들다방은 프로젝트 ‘차별없는가게’ 참여 가게입니다.

들다방이 되고자 하는 ‘차별없는가게’가 어떤 모습인지 설명을 가져왔습니다.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a.school/about

 

프로젝트 ‘차별없는가게’ 소개

‘차별없는가게’는 중증장애인과 사회적 소수자가 차별 받지 않고 드나들며 지역사회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카페나 식당 등 작은 가게를 섭외/조성하여 지도로 공유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이애나랩과 인포숍카페별꼴이 함께 기획하였습니다.

다이애나랩과 인포숍카페별꼴은 ‘차별없는가게’프로젝트를 통해 중증장애인과 사회적 소수자가 차별받지 않고 드나들며 지역사회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카페나 식당 등 작은 가게의 목록을 만들어 지도로 공유하는 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의 ‘차별없는가게’공간을 통해 사회적 소수자와 지역사회 사이의 작은 연계지점을 만드는 것은 점주나 손님 뿐만아니라 프로젝트의 기획자, 서포터즈, 연구자, 그리고 지켜봐주시는 많은 분들 모두에게 즐겁고도 소중한 일이었습니다.

차별없는가게 지도 웹사이트 : wewelcomeall.net

차별없는가게  안내 웹사이트 : wwa.school

공간학교WWA 소개

공간학교WWA에서는 차별없는가게 프로젝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가, 활동가들과 함께 차별없는가게의 개념과 조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신규 가게가 참고할 만한 자료를 칼럼, 영상, 매뉴얼북의 형태로 제작했습니다.

공간을 운영하는 점주나 매니저, 혹은 공간을 운영할 예정인 분들, 지역의 가게에서 마주칠 수 있는 차별을 어떻게 생각해볼 수 있을지 고민하시는 분들, 소수자에게 안전하고 열려있는 공간을 생각하는 모든 분들께 공간학교WWA의 기록이 참고할 만한 지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꾸리는 이

다이애나랩

다이애나랩은 사회적 소수자와 함께 하는 표현을 연구하고 실행하는 단체입니다.미디어 아티스트, 사운드 아티스트, 텍스타일, 사진, 영상 등 개인 작업을 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만든 콜렉티브(collective)로 물리적인 공간부터 순간, 보이지 않는 공기까지 전체를 섬세하게 만드는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인포숍카페별꼴

인포숍카페별꼴은 비영리단체인 장애인문화예술판이 2011년 만든 공간입니다.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카페로 설계되었으나 장애 뿐만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들과 소수성/경계/예술/사회운동에 대해 생각하는 사람들이 드나드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몇 번의 이사를 거치면서 작은 가게에서 적용해볼 수 있는 소수자 접근성에 대해 고민을 하다 다이애나랩과 함께 차별없는가게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참여 가게

사회적기업 들다방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는 카페 겸 급식소. 그외 장애 관련 북콘서트, 상영회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리는 공간.
들다방은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해 사회적 소수자들이 노동의 권리를 실현하는 일터를 만들고 있습니다.
들다방을 둘러싼 공간을 깨끗이 관리하고, 먹을거리를 만들어 나누고,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모든 과정에 중증장애인의 노동이 깃들어 있습니다.

다른 참여 가게 보기

차별없는가게 지도 웹사이트에 가면 서울 시내 차별없는가게 위치와 각 가게 목록 및 기본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wewelcomeall.net

 

차별없는가게 체크리스트

셋으로 나뉜 칸 안에 작은 정사각형으로 여섯에서 일곱 개 버튼이 정리돼 있는 아이콘. 각 버튼마다 체크된 흔적이 있거나 없기도 하다.

셋으로 나뉜 칸 안에 작은 정사각형으로 여섯에서 일곱 개 버튼이 정리돼 있는 아이콘. 각 버튼마다 체크된 흔적이 있거나 없기도 하다.

 

내가 속한 가게가 어떻게 차별의 문턱을 하나씩 거둬갈 수 있을까요?

체크리스트는 차별없는가게의 구성요소를 하나씩 풀어 설명한 것으로, 가게의 현상황을 진단하고 개선 사항들을 점검하는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체크리스트는 ‘공간 접근성’, ‘정보 접근성’, ‘마음 접근성’에 따라 나뉩니다.

내가 속한 가게의 공간·정보·마음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다음의 글을 통해 세 가지로 분류된 체크리스트 상세 정보를 안내해드릴게요.

 

https://deuldabang.com/5340/

https://deuldabang.com/5342/

https://deuldabang.com/5345/

https://deuldabang.com/5338/

글쓴이 : 들다방

댓글 남기기